한국에 산후조리원이 많다고 하는데, 어떤 산후조리원이 있는지,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궁금하셨던 적 있으신가요?!
저도 작년에 아이를 낳았는데 하나하나 찾아보고 찾는게 너무 힘들고 복잡했어요. 그래서 출산의 장점을 한눈에 보실 수 있도록 하나씩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어느 출산 후 기저귀 교환권이 가장 시급한 사람과 신청 방법을 아주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색인
1. 기저귀 교환권 사용 자격
저소득층은 기저귀 교환권으로 지원하고, 0~24개월까지 기저귀 구매를 지원하여 경제적인 출산수당 중 하나보지마. 이 쿠폰으로 다른 상품은 구매하실 수 없으며, 기저귀만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정상소득 80% 이하 장애인, 다자녀 가구(만 2세 미만 아동 전원 지원)
ⓑ 기초수급자, 한부모 및 차상위계층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가구(생활·의료·교육·주거)
ⓓ 자활사업 참여 차상위세대
ⓔ 한부모 청소년 가정
ⓕ 차상위 세대 확인서 발급 세대
2. 소득 기준
통상소득이 중위소득의 80% 이하이면 소득기준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하다.
개인 소득자의 경우 급여명세서에서 건강보험료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개호보험료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맞벌이자의 경우, 부모의 건강보험료를 비교하여 고액보험료 100%, 저소득자녀 건강보험료 50%를 합산할 수 있습니다.
EX) 남자의 건강보험료가 20만원이고 여자의 건강보험료가 10만원이라고 가정
>> 시니어 남편 본인 부담금 100%(20만원) + 아내 건강보험료 50%(5만원) = 25만원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여 총 건강보험금액이 25만원이면 8인가족 기저귀이용권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의 경우 건강보험료가 0원으로 부과되기 때문에 같이 일하면 그대로 0원이 적용되기 때문에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휴가의 경우
ⓐ 1개월 미만 휴학 : 직전월 건강보험료 부과
ⓑ 1개월 이상의 휴학 : 휴학증명서 제출, 무급휴직은 근로능력 상실로 인정
<< 80 % des Standardmedianeinkommens im Jahr 2023 >>
가구 구성원 수 | 소득 기준 (80%) |
건강 보험료 | ||
직원 가입자 | 지역 가입자 | 혼합 | ||
2명 | 2,765,000원 | 98,924원 | 32,295원 | 99,340원 |
3명 | 3,548,000원 | 126,502원 | 74,650원 | 127,725원 |
4명 | 4,321,000원 | 153,999원 | 116,161원 | 155,838원 |
5명 | 5,065,000원 | 181,294원 | 139,405원 | 183,861원 |
6명 | 5,783,000원 | 206,304원 | 167,633원 | 209,382원 |
7명 | 6,487,000원 | 230,142원 | 196,236원 | 233,952원 |
8명 | 7,190,000원 | 255,791원 | 229,312원 | 261,015원 |
3. 어떻게 신청하나요?
기저귀 교환권의 경우 원칙적으로 응시자의 부모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주민등록등본상 동거하는 부모, 가족 및 친족(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친족) 및 법정대리인, 법정대리인, 영유아를 양육하는 자(수양모, 사회기관 관리자), 관계공무원 등이 지원할 수 있습니다.
ⓐ 관할 행정복지센터나 보건소에 신청하시면 됩니다.
<
– 저소득 가정 기저귀 교환권 지원 신청
– 부모 건강보험증 사본, 소득증빙서류(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 등기소 사본 또는 친족관계증명서(세대원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
>> 추가서류가 필요할 수 있으니 방문 전 구비서류를 다시 한 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온라인 접수 >> 복지로드 홈페이지 바로가기
tbu/앱/메인/메인
www.bokjiro.go.kr
>> 온라인 신청의 경우 별도의 서류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보건소 방문보다 편리합니다.
>> 서비스 신청 -> 저소득층 기저귀 지원 신청 -> 페이지 하단 저장 후 다음 단계 클릭하여 계속 진행
>> 기저귀 상품권의 경우 신청일 기준으로 지원되며, 출생 후 60일 이내에 신청하면 24개월마다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신청이 늦어질 경우에는 남은 개월수만큼 지원하며, 신청일이 주말 또는 공휴일인 경우에는 익영업일을 신청일로 합니다.
신청하면 60세 이전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24개월 동안 지원을 받을 수 있다.
4. 보조금 및 공급원
ⓐ 보조금
>> 지원금은 월 80,000원입니다.
(2022년 64,000원에서 2023년 80,000원으로 인상)
>> 국민행복카드 상품권으로 진행되며 3개월에 1회 지원됩니다.
다시 말해서 3개월 240,000원 일괄지급 및 상품권으로 연 4회 총 4회 지급것이 가능하다.
>> 바우처 잔액이 남아 있을 경우 결제 종료일까지 만료되지 않으며 다음 생성되는 바우처와 함께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바우처는 생성 당일 오후 8시 이후에 생성되며, 다음날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 늦은 신청에 대한 소급 신청은 없습니다.
>> 바우처 잔액은 카드사(앱으로도 확인 가능) 및 바우처 영업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Gehen Sie zu Überprüfen Sie Ihr Gutscheinguthaben >>
>> 대상자(유아)를 등록하고 퀵메뉴에서 쿠폰서비스 이용현황을 클릭하시면 쿠폰금액과 잔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다음 바우처 생성 예정일과 바우처 사용 가능 기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바우처 사용처
쿠폰의 경우 카드사별로 구매처가 다르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따라 구매처가 결정됩니다.
모든 곳에서 편리하게 구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아직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지 않으셨다면 보다 편리한 쇼핑이 가능한 카드사를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상품권은 보통 임신 중 발급받은 국민행복카드로 결제한다.
카드사 | 구입처 |
비씨카드 | (온라인) 포스트 몰G마켓, 옥션, 페이스북쇼핑, 월간물(앱), 우리원마켓, 국민행복센터 (오프라인) 나들샵, 이마트(가맹점 포함), PK마켓, 노브랜드, 홈플러스(익스프레스 포함), GS25편의점, GS더프레시 |
롯데카드 | (온라인) 롯데카드 올마이쇼핑몰 (오프라인) 롯데마트, 롯데빅마켓, 홈플러스(익스프레스 포함), GS더프레스, GS25편의점 |
신한카드 | (온라인) 신한카드 올더쇼핑국민행복센터 (오프라인) CU 편의점, GS25 편의점 |
KB국민카드 | (온라인) KB국까말국민행복센터 (오프라인) GS25편의점, CU편의점 |
삼성카드 | (온라인) 삼성카드몰국민행복센터 (오프라인) 이마트(트레이더스 포함), 홈플러스(익스프레스 포함), 노브랜드, 부츠, GS25편의점, GS더프레시 |
구입처를 비교해보면 BC카드가 확실히 구입처가 더 많고 더 쉽습니다.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의 경우 구매처가 제한적이라는 상대적인 단점이 있다.
카드사별로 링크를 걸어두어 클릭만 하면 바로 쇼핑할 수 있어 여러 온라인 쇼핑지에서 바로 쇼핑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는 제외 전용카드(무계좌 체크카드)의 경우 예외적으로 계좌개설이 어려운 경우에만 발급됩니다.
지도. 바우처 결제 후 결제 취소 시 바우처 금액 복구까지 약 2~3일 소요됩니다.
쿠폰 복구 여부 확인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이마트나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 구매가 가능하나, 이마트 에브리데이, 롯데슈퍼에서는 쿠폰 사용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지금까지 기저귀 바우처가 무엇이며 어떻게 신청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놓치셨다면 지금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세요. 60일 이상인 경우 소급 적용되지 않으나 남은 개월 동안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요즘 가격이 많이 오르고 기저귀가 싸지 않은게 사실입니다.
아마도 경제적으로 아이를 키우는 것이 쉽지 않은데, 저도 아이 넷을 키우고 있어서 충분히 이해가 가는 부분입니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서비스가 있다면 앞으로 하나씩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출산 후 받을 수 있는 혜택도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해서 받아보세요. 이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누리는 권리이기도 합니다.